본문 바로가기

삶얘기

고창 화시봉(고인돌유적지~화시봉~소굴치)

<세계문화유산과 생태계의 보고 늪지를 품에 안은 고창 화시산(화 시봉)>


▣ 언제 : 2008. 6. 14(토)
▣ 어디로 : 화시산 화 시봉 403.2m m(전북 고창)

▣ 누구랑 : 산마루 회원 12명과 함께

▣ 산행코스 : 고인돌유적지~하갑교 삼거리~성틀봉~(1.5km)~직업재~회 암봉~옥녀봉~오봉~호암~백운재~(6.2km)~화 시봉~가마 바위~촛대바위~왕자 굴~투구봉~(2.9km)~소굴치(22번 국도) <10.6km, 4시간 30분 소요>
▣ 날씨 : 맑고 약한 황사
▣ 산의 특징

불멸의 영혼이 살아 숨 쉬는 고창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 2천여 기가 조밀하게 산재한 곳으로 세계에서 유일하다. 특히 화시산 끝자락인 성틀봉 주변의 죽림리와 상갑리 일대에 밀집된 고인돌 447기와 23곳의 상석 채취장이 세인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고인돌은 선사시대 선조들의 삶을 조명하고, 묘제 양식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다. 또 그 축조기법을 통해 기초물리학, 역학, 건축기술 등을 연구하는 시금석이자 그 시대의 생활상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화시산(火矢山·403.2m)은 지금까지 선운산과 방장산의 명성에 가려 명함도 못 내밀었지만, 세계문화유산 고인돌과 오베이골 탐방로, 생태계의 보고 늪지와 운곡댐, 암릉과 송림이 어우러진 등산로 등이 갖춰져 비로소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됐다.

 

소굴치 방향에서 오르면 투구바위, 촛대바위, 상여바위, 왕자 굴 등의 스릴 넘치는 암릉이 있고, 부안면 삼태 마을에서 오르면 벼락바위, 갓바위, 주먹 바위, 시계 바위 등 자연경관이 백미다.

 

신라 때 어느 왕자가 난을 피하여 십승지를 찾아 백제 땅 고창으로 와 가마를 타고 화 시봉을 오르면서 투구를 벗어 놓은 투구바위(시루봉), 가마가 무거워 내려놓은 가마 바위(상여바위), 촛불을 켜놓은 촛대바위와 수행한 장수가 호랑이를 몰아내고 왕자를 모신 왕자 굴도 볼거리다.

 

한국풍수기행 ‘저 장대 끝 오리’ 본문은 ‘화실봉에 사는 불귀신(火神)들이 신림면 임리 마을을 자꾸 불태우자 선인의 가르침에 따라 오리 솟대를 세우고 매년 정월 열나흘에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산 전체를 지칭할 때는 화시산, 정상은 화 시봉 또는 화실봉, 봉우리들은 성틀봉, 옥녀봉, 회 암봉, 오봉 등으로 부르면 좋겠다.

 

산줄기는 호남정맥 내장산과 백암산 사이의 순창 새재 부근 530m 봉에서 서쪽으로 가지 친 영산 기맥이 입암산을 지나 방장산 자락 고창 고개에서 북쪽으로 갈래를 친 뒤 사실 터재와 오봉을 지나 화 시봉을 솟구쳐 놓고 소요산으로 줄달음치다가 선운산 경수봉 앞에서 서해로 숨어든다.

 

물줄기는 모두 인천강에 합수되어 줄포만에 살을 섞는다. 행정구역은 고창군 고창읍, 부안면, 신림면을 경계한다.

 

▣ 산행지도

 

▣ 산행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