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자 : 2015. 3. 14(토)
▣ 기상상황 : 박무
▣ 산행장소 : 주작산
▣ 주요봉우리 : 복덕산(262m), 첨봉(354m), 주작산(475m), 남주작산(428m)
▣ 주요고개 : 대산고개, 학동고개
▣ 행정구역 : 전라남도 강진군
▣ 참여인원 : 토요산악회 23명
▣ 산행코스 : 계라분교(폐교)~복덕산~학동고개~대산고개~첨봉~덕룡산갈림길~주작산~작천소령(쉬양릿재)~주작산갈림길~남주작산~정각~패러글라이딩장~수양마을
▣ 산행거리 : 16.0km(Gps 측정거리)
▣ 산행시간 : 7시간 36분(08:37~16:11)
▣ 교통수단 : 산악회 버스
▣ 산행후기
오늘 산행지는 계라리고개에서 주작산갈림길까지는 땅끝기맥 구간이다. 계라리고개에서 산행을 시작하였는데 등로가 희미하고 잡목이 앞을 가로막았지만 그래도 선답자들의 리본이 군데군데 붙여져 있어 알바를 할일은 없었다.
주작산은 봉황이 날개를 활짝 펴고 나는 듯한 형상을 지닌 산이다. 겉으로 드러난 이 암맥은 곳곳에 길게 암릉을 형성하고 있어 멋진 남해 조망을 제공하고 산행에 재미를 더하지만 때때로 위험한 곳을 노출시키기도 한다.
주작산은 주작이 머리를 서쪽으로 돌린 형상을 하고 있어 멀리서 보면 덕룡산처럼 날카롭지 않고 두리뭉실하다. 그러나 이 산을 직접 올라 본 사람은 첩첩 이어진 날카롭고 거친 암릉에 그만 혀를 내두른다. 이 산의 정상에서 작천소령 북쪽 능선에 올라 바라 보는 강진의 산하 또한 일품이다. 특히 가을에는 산 아래 펼쳐진 논정 간척지와 사내 간척지의 황금 물결이 볼만 하다. 정상 뒤쪽은 해남 대흥사가 있는 두륜산이다.
옛부터 이산에는 8명당이 있다고 하여 풍수지관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데, 장군대좌(將軍大座), 노서하전(老鼠下田), 옥녀탄금(玉女彈琴), 계두혈(鷄頭穴), 정금혈(井金穴), 월매등(月埋燈), 옥등괘벽(玉燈掛壁), 운중복월(雲中覆月) 등의 8개 대혈을 일컬음이다.
산행은 수양리조트와 오소재에서 시작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대부분 주작산-덕룡산, 덕룡산-주작산을 연계하여 한다. 주작산-덕룡산을 연계한 산행은 5시간, 수양리조트에서 작천소령을 거쳐 정상에 올랐다가 다시 첨봉을 거쳐 수양제로 하산하는데 약 3시간, 오소재에서 주작산을 거쳐 수양리조트로 하산하는데는 5시간이 걸린다.
주작산과 남주작산 구간에서는 멋진 암릉을 구경하면서 추억을 많이 남겼다. 그리고 하산해서는 숭어회와 돼지고기로 하산주를 하고 강진으로 이동하여 목욕을 한 후 집에 무사히 도착을 하였다. 오늘 구간도 16km나 되는 긴 여정이었지만 동반자들과 함께한 즐거운 시간이었다.
▣ 산행지도
▣ 산행사진
단체사진
산행준비
산행전 체조
시멘트포장도로를 따라서 산행시작
송전탑 우측으로 진행
결코 만만치않은 땅끝기맥길
복덕산을 오르면 본 풍경
복덕산(262m)
[도암, 옥천경계 1.3km]를 가리키는 이정표에서 기맥은 바로 우측으로 꺾어 내려가고, 그대로 오르면 산불초소가 있는 북덕산이다. 산불초소를 흔히 보지만 이곳은 정말로 산불초소가 있을만한 곳이다. 사방으로 조망이 훤하다. 덕룡산 능선이 펼쳐지고, 그 너머로 두륜산 봉우리까지 보인다. 햇빛에 비치는 강진만 바닷물이 번뜩인다. 만덕산이나 흑석산이나 그리 높지 않은 산임에도 벌판 건너 우뚝 솟으니 제법 풍채있어 보인다.
복덕산 삼각점
복덕산 정상에 있는 산불감시초소
학동고개
[첨봉4.3 삼거리6.3km / 중계탑3.1km] 시멘포장이 된 길이다. 이정표의 삼거리는 덕룡산 갈림길이고, 중계탑은 계라리 고개의 이동통신탑이다. 이정표 기둥에는 ‘도암옥천 경계’로 적혀있는데, 북덕산 내려오면서 도암과 옥천의 면계를 만나고, 덕룡산 삼거리까지 면계는 이어진다. 정면으로도 수렛길인가 싶었는데 묘터로 들어가고 마루금은 우측 산길이다.
192.7봉
183.5봉
165봉 삼각점
대산고개
주작산자연휴양림
주작산은 강진군 신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475m의 낮은 산이지만 날카롭고 웅장한 암봉과 말 잔등처럼 매끈한 초원 능선이 어우러져 있으며, 등산로와 다도해의 일출이 유명하다. 주작산자연휴양림은 2007년 7월 1일 개장하였으며, 면적은 1,686,694㎡이다.
또한 해수욕과 관광을 겸할 수 있는 완도 명사십리, 해남 송지 등 1시간 이내의 거리에 다수의 해수욕장이 있고, 서남부권 중심지로 해수욕과 남도여행을 겸할 수 있다.
287봉
벌목을 하고 삼나무를 심어놓은 지대 우측을 따라 산행
헬기장
삼나무 숲을 이리저리 돌며 급비탈이 다하면 산정의 분지마냥 넓은 헬기장에 올라선다. 정상은 바로 위쪽이고 양 옆으로 조망이 시원하다.
첨봉 (尖峰 354m)
그 이름처럼 그리 뾰족하지는 않은 봉우리다. 이정표에 [삼거리 2.0km]과 함께 남서쪽으로 [화원지맥]을 가리킨다. 필경 이 이정표를 만든 사람은 산줄기를 잘 알고, 또한 우리같은 마루금파를 배려함이 깊은 사람임에 틀림없다.
그리 알려진 지맥도 아닐뿐더러 이정표를 만든 주체는 도암면(강진군)이고, 화원지맥은 해남군에 속한 산줄기 임에도 이정표에 이름을 달아놓은걸 보면 다른 설명이 필요치 않다. 조망은 헬기장에 비할 수 없으나 나무사이로 두륜산 능선이 더 뚜렷해졌고, 그 너머로 대둔산 시설물이 빠꼼히 머리를 내밀고 있다.
화원지맥분기점
땅끝기맥 첨봉에서 남서쪽으로 분기하여 덕음산 만대산 금강산을 거쳐 해남군 화원면 영호리 금호방조제까지 이어지는 76.5km의 산줄기로, 강을 가르는 분수령이 아닌 바다로 뻗은 반도의 끝으로 가는 형태라 신산경표에서는 그 끝에 위치한 면의 이름을 따 화원지맥이라 했다. 호미곶으로 가는 호미지맥과 같은 경우로 보면 되겠고, ‘신산경표’ 맨 마지막 장에 표기된 지맥이다.
첨봉에서 급하게 떨어졌다가 올라서고 이후로는 고만고만한데, 덕룡산 삼거리까지의 한시간 가량 걸리는 2km 남짓한 능선길에는 울퉁불퉁한 암릉이 자주 나온다. 조심조심 산행이 요구된다.
덕룡산 분기봉 직전 안부에는 수렛길 정도로 길이 넓고 왼편에는 덕룡산(420m) 암봉들이, 오른쪽으로는 주작공룡의 날카로운 능선이 마치 주작의 양날개 처럼 펼쳐져 있다.
덕룡산능선길 도착
덕룡산 동봉과 서봉
주작산
높이 475m로, 산세가 봉황이 날개를 활짝 펴고 나는 듯하다 해서 주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곳곳에 긴 바위능선이 많고 정상에 서면 다도해가 한눈에 들어온다.
수양리조트에서 정상을 오르는 코스와 오소재로 방위능선을 타고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있다. 수양리조트에서 시작하는 코스는 작천소령에서 정상을 넘고 첨봉을 지나 수양제로 내려오며, 오소재에서 시작하는 코스는 첫번째 바위봉우리를 지나 362m봉·401.5m봉을 넘어 바위능선을 타고 412m봉·427m봉을 지나 작천소령으로 정상에 오른다.
하산은 정상을 내려와 425m봉 바로 앞에서 수양제로 내려가는 길, 첨봉으로 해서 수양리조트로 하산하는 길 등이 있다. 찾아가려면 광주광역시에서 직행버스를 타고 강진에서 내려 신전면 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수양리에서 내린다.
난농장
작천소령
오소재로 가는 공룡능선
덕룡산 능선
남주작산
주작산(해발 428m)은 이름에서도 풍기듯이 봉황이 날개를 활짝펴고 나는 듯한 형상을 지닌 산이다. 봉황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지점이 최고봉으로 우측날개 부분은 해남 오소재로 이어지는 암릉이며 좌측날개는 작천소령 북쪽에서 덕룡산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강진 만덕산에서 시작해 석문산-덕룡산-주작산에 이르는 암릉은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해안선과 나란히 이어져 확트인 바다내음을 마음껏 느낄 수 있다. 산행은 수양 관광농원에서 시작, 임도를 이용하여 정상에 오를 수 있으며 승용차로도 진입할 수 있다.
산행의 묘미를 느끼고자 한다면 두륜산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오소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암릉구간(약 4.5㎞)을 거쳐 정상에 오르면 확트인 해안선과 드넓은 간척지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되어 암릉과 더불어 독특한 경관을 느낄 수 있다. 주변에 수양관광농원과 사방댐이 잘 정비되어 있어 어린이들의 물놀이를 겸한 여름 휴가철 피서 장소로 안성맞춤이다.
폐헬기장
주작산 해맞이 제단
패러글라이딩장
패러글라이딩장에 있는 산불감시초소
임도를 따라 진행
임도를 따라오다 수양마을로 하산
하산하면서 바라본 바위봉
주작산자연휴양림에서 바라본 바위봉
하산하여 숭어회와 돼지고기로 하산주 한잔씩
할머니가 팔고 있는 더덕과 돼지감자
강진읍으로 이동하여 목욕을 한 후 집으로 행차
'등산·여행·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악수변공원 산책 (0) | 2015.03.21 |
---|---|
무안 승달산(청계제일교회~목포대박물관) (0) | 2015.03.15 |
낙남정맥 5구간(마재고개~한치재) (0) | 2015.03.08 |
영암 월출산(경포대~천황봉~경포대) (0) | 2015.03.07 |
무안 승달산(제일교회~승달산~목대박물관) (0) | 201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