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들은 산에 오른다.
또 어떤 사람들은 산에 오르지 않는다.
산에 오르지 않는 사람들은 산에 오르는 사람에게 묻는다.
산에서 내려올 걸 왜 올라가느냐고?
산에 오르는 사람들은 보통 그냥 웃거나, 산이 있어 오른다는 것으로 대답을 대신한다.
그래 나는 왜 산에 오르는 것일까?
산이 있으니까 그냥 산에 오른다?
글쎄 내 스스로 생각해도 별로 근사한 대답이 아닌 것 같다.
그럼 산에 오르는 이유는? 목적은?
글쎄 꼭 이유나 목적이 있어야 한다는 법도 없는데...
아주 근사하거나 타당한 이유나 목적은 없지만
그래도 주중이든 주말이든 산에 오르고, 산에 오르지 못하고 맞이하는 한 주는
왠지 모르게 상쾌하지 못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가 없는 소위 "등산 중독증"에 걸려버린 생활을 나는 사랑한다.
오래전에 아이들과 산에 올라서 등산의 이점에 관해 이야기를 하였는데,
등산은 운동을 하고 땀을 흘리니 건강에 좋고,
나무나 풀 등 식물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어 좋고,
나무, 흙, 바위 등을 직접 보고 느끼게 되어 자연을 사랑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좋고,
힘겹게 산을 오르면서 끈기와 인내를 배울 수 있어 좋고,
정상에 올라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좋고, 등등 끝없이 좋은 점을 나열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하지만 위의 모든 이점이라는 것이 배우고, 얻고
또 느끼는 지극히 인간 중심의 관점이 아닐 수 없어 씁쓸하다.
늘 집 주위의 산에만 오르다 몇년전부터는 산악회 회원들과 1대간 9정맥 종주에 도전 하였다.
3-4 시간의 산행을 하다가 10시간 이상의 산행을 하다 보면 육체적인 고통이 따를 뿐만 아니라
가끔은 예상치 못하였던 사건들도 일어난다.
회원들과 함께 산행을 하지만 일정 부분은 자신이 감당해야 하고
또 산행 시간이 길다 보면 자신과의 대화도 자연스럽게 나누게 된다.
대화 내용에는 자신, 가족, 직장 등 나 자신의 생활에 관한 부분도 있고,
삶과 죽음, 종교 등 인간 존재의 본질에 관한 부분도 있다.
가끔은 산에 오르는 이유를 자문해 보는 경우도 있다.
그러는 가운데 언제부터인가 산에 오르는 이유를 생각해 내었다.
즉, 산에 오르는 이유는 "버리기 위해 산에 오른다"이다.
산에 올라
탐욕을 버리고,
성냄을 버리고,
어리석음을 버리고,
산을 내려온다는 것인데
어떻게 보면 이유라기보다는 다짐에 가까운 내용이다.
산속에서, 고통 속에서, 자신 앞에서 겸손하고 솔직해지다 보니
탐, 진, 치의 방기(放棄)가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임을 깨닫게 되고
이를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아닐까?
신록이 푸르른 계절이 왔다.
산은 온갖 녹색으로 뒤덮여서 산꾼들을 유혹한다.
그래서 오늘도 동반자들과 함께 호남정맥 17구간에 올라
산에 오르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왔다.
오늘 구간은 군부대가 있어 출입통제지역인 존제산 구간을 무사히 거쳐서 왔고
무남이재부터 시작된 철쭉은 백이산에서 절정을 이루어 실컷 구경하고 왔고
백이산 정상에서 바라본 조망은 사방팔방으로 확 트여 내 마음을 시원하게 해 주었다.
또 산 전체가 녹색으로 물들어 눈을 황홀하게 하였음은 물론 공기도 좋았으나
그 아름다운 풍경을 카메라로 다 담을 수 없었다는데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오늘도 또 한구간을 끝냈다.
다음 구간은 순천 조계산 구간이다.
조금만 더 힘을 내면 그 기나긴 호남정맥도 끝을 볼 수 있을것 같다.
▣ 산행일시 : 2019. 05. 02.(목)
▣ 기상상황 : 맑음(23℃~6℃ → 아침에는 쌀쌀하였으나 낮에는 무더웠음, 미세먼지 : 보통)
▣ 산행장소 : 호남정맥 17구간(무남이재~고동재)
▣ 산행인원 : 목포다솜산악회 7명(퍼펙트, 무니, 피싱, 올리버, 산따라, 서산마루(순천), 신기루)
▣ 주요산과 봉우리 : 광대코봉(610.3m), 존제산(712m), 백이산(582m)
▣ 주요지점별 도상거리 : 무남이재-(2.0km)-571.1봉-(0.8km)-모암재/유재-(1.4km)-존제산(출입금지지역)-(4.2km)-주랫재-(1.2km)-485.5봉-(3.2km)-석거리재-(1.8km)-백이산-(1.4km)-빈계재-(2.8km)-510.5봉-(1.5km)-고동재(20.3km)
▣ 산행코스 : 무남이재(335m) → 광대코봉(610.3m) → 571.1봉 → 고흥지맥분기점 → 모암재(帽岩-/천치고개/2번국도/432m) → 존제산(尊帝山/712m) → kt존제산중계소입구 → 주릿재(周老峙/360m) → 485.5봉 → 415봉 → 석거리재(27번국도/260m) → 백이산(伯夷山/582m) → 분계재(分界-/빈계재/300m) → 물봉굴재(478m) → 511.2봉 → 고동재/고동치(高東峙)
▣ 산행거리 : 23.4km(Gps 램블러 측정 기준)
▣ 누적거리 : 418.6km(접속 및 알바거리 포함)
▣ 산행시간 : 8시간 56분(휴식 및 점심시간 1시간 1분 포함)
▣ 교통수단 : 자가용 1대
▶갈 때 : 목포 석현동 목포프로낚시~목포 하당 원조나주곰탕집에서 아침식사~무남이재
▶차량회수 : 고동재에서 택시를 불러 무남이재에 있는 차량 회수(요금 45,000원)
▶올 때 : 무남이재~강진에서 저녁식사~목포 석현동 목포프로낚시
▣ 산행지도 및 Gps 트랙
▣ 산행사진
▲ 나주곰탕으로 아침 식사
▲ 소통의숲 윤제림 도착
▲ 윤제림
본 윤제림은 산림 경영모델림으로써 산주가 45년을 가꾸어온 사유림이다.
우리 모두 자연을 사랑하여 후세에게 아름다운 산림 유산을 남기자.
▲ 오늘의 출발지 무남이재(335m)
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에 있으며, 수남리에서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를 잇는 고갯길이다. 옛날 득량바다에 큰 해일이 일어 물넘은 고개라 부르던 것이 세월이 지남에 따라 발음이 변해 지금의 무남이재가 되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겸백년 수남으로 넘어가는 고개·물이 넘처 흐른 고개라고 한다.
▲ 무남이재에서 단체사진 촬영 후 출발
▲ 광대코재
▲ 광대코봉(610.3m)
초암산과 존제산 갈림길이기도 하다. 멀리서 보면 광대의 얼굴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무남이재 우측 상단에 있는 봉우리(얼굴형과 콧대가 있는 자연동굴)이다.
▲ 오늘도 미세먼지가 좋지는 않은것 같음
▲ 고흥지맥분기점
고흥지맥은 호남정맥의 존제산(712봉) 남쪽 2Km에 있는 적지봉(571봉)에서 분기하여 남동진하며 태봉(325.2봉), 가마봉(258봉), 장군봉(412.7봉), 삼봉(107.3봉), 혼백산(183봉), 천봉산(193.1봉), 소대방산(165봉), 운암산(484.2봉), 반월산(291봉), 수덕산(301봉), 오무산(356.3봉), 벼락산(431봉), 천등산(553.5봉), 우마장산(342.8봉), 유주산(416.6봉) 등을 일구고 지죽대교 앞 고흥반도 남단 남해바다에서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90.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고흥반도를 남북으로 온전하게 종단하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산이름이 아닌 지역이름을 따 고흥지맥이라 칭한다.
▲ 모암재(帽岩-/천치고개/2번국도/432m)
전라남도 보성군 율어면 선암리에 있으며. 선암, 유재 또는 천치재로도 불린다. 보성군 율어면 선암리 모암마을에서 보성군 벌교읍 옥전리 느재골을 잇는 고개로 이 고개를 지나는 도로가 옥전리 천치저수지를 지나 옥전교에서 2번국도인 녹색로와 접속된다.
▲ 철조망쪽으로 진행
▲ 존제산(尊帝山/712m)
전라남도 보성군의 율어면 선암리·유신리·장동리와 벌교읍 옥전리·증광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북동에서 남서쪽으로 비스듬히 보성읍 쪽으로 뻗어내리고 있다. 해발 300m 이상의 고지가 넓게 퍼져 있으며, 보성군 남서부 산지를 대표하는 벌교의 진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존자산(尊者山)은 보성군의 동쪽 28리에 있다.", "일월사(日月寺)가 존자산(尊子山)에 있다."라고 지명이 등장한다. 『해동지도』(낙안)에 금화산(金華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금화산 동편 아래에 징광사(澄光寺)가 표기되어 있다.
산 지명은 고려 충렬왕이 지었다고 전한다. 충렬왕이 남부 지방을 순시하는 길에 광주에 이르러 시종 관원에게 전남의 명산을 물었더니 첫 째가 광주 무등산, 둘째가 나주 금성산, 셋 째가 고흥 팔영산, 넷 째가 보성의 존자산이라고 아뢰자 왕은 존자산보다 존제산이라 부르는 것이 낫겠다고 했다고 한다. 일설에는 이 고장 산수의 조종산 격인 제암산을 잊지 못해 돌아보고 높이 받든다는 뜻에서 그렇게 불러 왔다고도 한다.
이 산 기슭에 있던 일월사에 철로 만든 말이 있었는데, 이 철마의 머리 방향에 있는 마을은 운세가 좋지 않아 흉년이 들거나 질병이 발생한다 하여 각 마을에서는 서로 다투어 철마의 머리 방향을 돌려세워 오다가 마침내는 철마를 산속 깊이 묻어 버렸다는 불교와 연관된 전설이 있다. 산록에 일월사와 징광사라는 큰 사찰이 있었는데 1800년 무렵에 폐사하였다.
▲ 존제산에서 출입문을 통과하여 나와 임도에서 술참
▲ 주릿재까지 이어지는 임도는 약 5km정도 됨
▲ 이팝나무
▲ 병꽃나무꽃
▲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
▲ 임도를 따라 가다가 잠시 산길로 들어섰는데 다시 임도와 만남
▲ 주릿재(周老峙/360m)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에 있는 고개이다. 한자로 ‘주로치(周老峙)’라고도 한다. 벌교읍 추동리 대판이 마을 서쪽에서 존제산(尊帝山)을 넘어 율어면 유신리에 이어지는 고개이다.
긴 밧줄을 풀어놓은 것처럼 구불구불한 모양새라고 하여 주릿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고개 왼편으로는 벌교읍내에서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한 백동(栢洞)마을이 있고, 정상에는 쉬어가는 정자와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문학비’가 세워져 있다.
문학비에는 조정래의 필체로 ‘징광산과 제석산은 태백산맥이라는 거대한 나무의 실가지에 피어난 잎들이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문학비
▲ 주릿재에 있는 존제산 정상석
▲ 외서삼거리
▲ 쓰러진 나무들로 인하여 지장 초래
▲ 석거리재(27번국도/260m)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와 순천시 외서면 장산리 사이의 높은 고개이다. 『해동지도』(낙안)에는 신치(薪峙)라 표기되어 있다. 섶나무거리가 많아서 섶거릿재라 이름 붙인 것이다. 석거리재는 섶거릿재가 변한 것이다.
▲ 석거리재 휴게소식당 앞 정자에서 점심식사
콜라와 맥주는 식당에서 사 먹음
▲ 석거리재휴게소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백이산으로 출발
▲ 가야할 백이산
▲ 아침에는 쌀쌀하던 날씨가 오후가 되면서 더워지기 시작
따라서 백이산을 올라 가는데 조금 힘이 들었음
▲ 백이산(伯夷山/582m)
전라남도 순천시의 서쪽 낙안면과 벌교읍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낙안면의 서쪽 경계를 고동산에서 백이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담당하고 있다. 『여지도서』에 "백이산은 관아의 서쪽 5리에 있다. 광주 무등산에서 뻗어 나온다."고 기록하고 있다.
『해동지도』(낙안)에 백이산은 읍치 서쪽 산줄기에 표기되어 있는데, 풍수적 측면에서 볼 때 우백호에 해당된다. 『1872년지방지도』에서도 백이산이 우백호로서 표현되어 있다. 낙안팔경 중에 하나인 백이청풍은 백이산에서 불어오는 맑고 시원한 바람을 뜻한다.
참고로 낙안팔경(樂安八景)을 소개하면
금강모종(金剛暮鍾) - 금전산 금강암에서 들려오는 저녁 종소리
백이청풍(伯夷淸風) - 백이산에서 불어오는 맑고 시원한 바람
오봉명월(五峯明月)- 오봉산 위에 떠오르는 밝고 둥근 달
보람조하(寶嵐朝霞) - 제석산 허리에 피어 오르는 아침안개
옥산총죽(玉山叢竹) - 옥산에서 나는 곧은 신우대(화살대로 사용하였으며 왕께 진상하였다)
원포귀범(遠逋歸帆)- 멀리 선수 앞 바다에 만선의 깃발을 날리며 돌아오는 돛단배
용추수석(龍湫水石)- 용소의 맑은 물과 깨끗한 돌멩이
안동화류(雁洞花柳)- 안도(내동)의 꽃과 버들(청계정)
▲ 백이산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은 사방팔방으로 너무 멋졌음
▲ 백이산에서 철쭉구경 원없이 하였음
▲ 등산로에도 철쭉 천지
▲ 붓꽃
▲ 고사리도 이제 끝물
▲ 애기나리꽃
▲ 빈계재/분계재(分界재/300m)
전라남도 순천시의 서쪽 외서면 신덕리와 낙안면 하송리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백이산이 동북방향으로 고동산까지 뻗은 산줄기에 있는 재이다. 조선 시대에 낙안읍에서 동복과 낙수로 가는 길목이었다.
『여지고』(낙안)에 "분계치(分界峙)는 서북쪽 2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해동여지도』,『해동지도』,『대동여지도』(19첩 4면) 등에 낙안 북서쪽의 순천부 경계지역에 분계치(分界峙)가 기재되어 있어 중요한 고개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도 낙안면 소재지에서 외서면을 연결하는 58번 지방도가 이 고개를 통과하고 있다. 고개에 있는 이정표에는 빈계재로 기재되어 있어 고개의 다른 이름이 빈계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8번 도로가 지나며 신도로명은 읍성로이다.
▲ 편백숲
▲ 511.2봉에 있는 삼각점
▲ 511.2봉
▲ 다음 구간에 가게될 고동산
▲ 고동재/고동치(高東峙)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 장안마을에서 허신터골을 지나 낙안면 목촌리 수정마을을 잇는 고개이다. 이정목에는 남도삼백리(오치오재길)이라 되어 있다. 오치오재길은 길이16Km로 낙안읍성에서 고동사를 거쳐 승주읍 접치재를 연결하는 코스로 호남정맥 일부 구간이다.
▲ 강진에서 황칠 왕갈비탕으로 저녁식사(13,000원) 후 귀가
오늘도 기나긴 여정을 소화하느라 수고들 하셨습니다.
'등산·여행·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회 함평나비대축제 (0) | 2019.05.03 |
---|---|
유달산둘레길 (0) | 2019.05.03 |
호남정맥 16구간(봇재~무남이재) (0) | 2019.04.25 |
녹음이 짙어가는 무안 오룡산 (0) | 2019.04.24 |
충남 가야산(상가리~가야봉~석문봉~일락산~개심사) (0) | 2019.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