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왜 맨발 걷기는 수천 년간 논의된 적이 없었을까?
저자는 어린 시절 스스로 졸라 시골의 조부모님 밑으로 가서 자랐다.
당연히 매일 논두렁을 뛰고, 산을 오르내리고 뛰어놀며 컸다.
그러다 보니 수시로 날카로운 칼이나 낫에 손가락을 베이고, 찢기는 일이 다반사였다.
하지만 당시에는 오늘과 같은 상처 치료용 연고가 있을 리 만무했다.
그래서 보드라운 흙을 한 줌 쥐어서 피가 나는 상처에 뿌리곤 하였던 기억이 난다.
흙이 상처를 치유한다는 사실을 그 당시 어린 나이에 이미 알아차렸던 걸까?
그렇다면 과거 인류의 문명 전 고대에는 어떠했을까?
똑같은 자연치유의 방법이 있었을 것이다.
오랜 경험을 한 나이 많은 사람이나 제사장 또는 승려들이 원시적이나마 각종 상처와 질병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익혀 주변의 어려운 사람들을 치유케 하였을 것이다.
2006년 이부영 박사가 쓴 《의학개론》은 "질병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병은 생명과 더불어 존재했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왜냐하면 병은 곧 생명현상의 일부기 때문이다.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는 구석기시대의 의학은 의사 없이도 있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환자가 모두 스스로 의사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의술의 시작은 본능적인 행위이었을 것이다.
개들도 위가 불편하면 구토를 일으킬 때까지 풀을 먹고 토해내듯이, 또한 원숭이가 가시를 뽑고 피를 멎게 하듯이, 인류도 단순한 본능적 행동으로 아픔을 완화하기 위해 손으로 비비거나 식물을 채취해서 쓰거나, 해와 물 등을 이용하여 처치를 하고, 그것이 효과가 있으면 구전되어 치료법을 발전시켜 왔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라고 선사시대의 의학을 정의하고 있다.......
실제 약 4000년 전인 BC 1750년 고대 바빌로니아의 인류 최초의 성문법전인 함무라비법전에 이미 “의사와 의료행위에 대한 법적인 규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의사의 보수에 관한 조항이 있는데 법전 215장에 큰 수술로 환자를 고치거나 백내장을 수술해서 눈이 나으면 10제켈의 은을 받아도 좋다고 되어 있다.
5 제은 1년간의 고급주택 임대료에 해당하며, 직공장 II의 일당은 법전 274 장에 의하면 1/30 제켈이었다고 하니 막대한 돈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서술하고 있음이 그를 증거 한다....
3000년 전 중국의 황제내경도 "천인합일설- 음양오행설등 자연학에 입각한 병리학설을 주로 하고 실제 치료에 대한 기록은 적다.
영추는 침구와 도인 등 물리요법을 상순하고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약 2500년 전 현 인류의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그의 저서에서 “대자연이 바로 의사이다.”
“대자연은 스스로의 치유법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다."라며 자연치유에 대한 믿음을 토로하면서, 주로 식이요법, 공기욕, 안마 해수욕, 사혈요법, 부항 등의 치료 방법을 사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약은 주로 설사, 진정제 등에 사용했으며 약품의 종류도 그리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맨발 걷기로 건강해질 수 있다거나 병이 치유된다는 기록은 나오지 않는다.
고대 말기와 중세시대를 지나 근대 초기까지 의학의 황제로 칭송을 받았던 인물인 약 2000년 전 이집트의 갈레노스(129~200)는 서양의학의 역사에서 해부학과 생리학, 진단법,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의학의 모든 분야에 걸쳐 1000년 이상 오랫동안 큰 영향을 끼쳤고 그 역시 해부학자로서 위대한 해부학 저서인 《해부 방법에 관하여》와《인체 각 부위의 유용성 > 등 2권을 집필하였다.
그 이후 이탈리아의 해부학자 모르가그니 Morgagni GB는 서양 해부병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이탈리아 파두아 Padua대학교의 해부학교수로 56년간 재직하면서 많은 나라의 수만 명 의과대학생을 가르쳤다.
그리고 약 350년 전인 1761년 서양 근대의학을 연 《질병의 자 m》라는 기념비적 의서를리와 원인에 대하여 De Sedibus et Causis Morborum 남겼다.
한편 약 500년 전 조선 시대 태의 허준은 1596 년 선조의 왕명을 받아,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기 시작한 지 15년 만인 1610 년에 그 유명한 <동의보감》을 펴내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동의보감은 기존 중국과 조선 의학의 핵심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는바, 중국의 한나라에서 명나라에 이르는 200여 종의 문헌과 의방유취『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의림촬요』와 같은 수종의 조선 의서를 참고한 내용을 자신의 학식과 경륜에 결합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당시 의학의 경전이었던 『영추』와 『소문의 정신에 따라 의학의 줄기와 가지를 잡고, 다양한 학설과 처방을 병의 증상 · 진단 ㆍ 예후·예방법 등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그 결과 《동의보감》은 출간 직후부터 조선을 대표하는 의서로 자리 잡았으며, 18세기 이후 국제적인 책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의 다양한 기록들에서 '맨발 걷기'의 효험과 중요성은 나타나 있지 않다.
서양 의학자들은 주로 해부, 병리학을 중심으로 의술을 발전시켜 왔기 때문에 질병이 생긴 후 그 대증적 치료요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던 것으로 보이고, 우리의 동의보감은 병의 치료보다 병을 예방하거나 건강을 추구하는 양생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맨발 걷기에 관한 기록은 저자가 아는 한 찾아볼 수 없다.
다만 동의보감은 "약보보다는 식보, 식보보다는 행보"라고 하여, 걷는 것이 먹는 것은 물론, 보약보다도 더 좋다는 사실을 지적하였지만, 그를 따로 맨발로 걸어 흙과 접촉해야 건강해진다는 점을 적시하지는 않았다.
결국 그동안 수많은 의학자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무병장수를 위한 끈질긴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놀랍게도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이 땅, 대지를 맨발로 걷고 접지하는 것만으로도 에너지가 충전되고, 각종 질병이 치유된다는 이 놀라운 '단순 · 용이 · 무해 · 무비용' 의 건강법을 주목하지 못했다...
따라서 '맨발 걷기를 통한 질병 없는 건강 세상의 구축'이라는 인류사적인 큰 임무가 저자와 '맨발 걷기 시민운동본부'에 주어졌다고 생각하며, 그 점을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발로 걸어라] 고정관념을 벗어 던지면 혁명이 시작된다 (0) | 2023.06.18 |
---|---|
[맨발로 걸어라] 맨발걷기는 건강 세상의 꿈과이데이를 좇는 길 (0) | 2023.06.18 |
[맨발로 걸어라] 우리가 꿈꿨던 무병장수의 열쇠 (0) | 2023.06.18 |
[맨발로 걸어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류건강의 게임체인저 (0) | 2023.06.18 |
[맨발로 걸어라] 저자의 말 (0)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