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산&여행

지리산 성삼재~피아골

1주일 내내 주님과 동행하느라 몸이 몹시도 피곤해 주말에는 뭔가를 해서 풀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목포시청산악회에서 지리산을 가자는 연락이 지인으로부터 와 거절하지도 못하고 따라 나섰다.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리산은 3개도(경상남도, 전라남·북도), 1개시, 4개군, 15개 읍·면의 행정구역이 속해 있으며, 그 면적이 483.022㎢로서 20개 국립공원 중 가장 넓은 면적의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지리산(智異山)을 글자 그대로 풀면 "지혜로운 이인(異人)의 산" 이라 한다. 이 때문인지 지리산은 여느 산보다 많은 은자(隱者)들이 도를 닦으며 정진하여 왔으며 지리산 골짜기에 꼭꼭 숨어든 은자는 그 수를 추정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지리산은 예로부터 금강산, 한라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민족적 숭앙을 받아 온 민족 신앙의 영지(靈地)였다. 지리산의 영봉인 천왕봉에는 1,000여년 전에 성모사란 사당이 세워져 성모석상이 봉안되었으며, 노고단에는 신라시대부터 선도성모를 모시는 남악사가 있었다. 반야봉, 종석대, 영신대, 노고단과 같은 이름들도 신앙을 상징한다.

 

구름 위에 떠 있는 고봉 준령마다 영기가 서리고, 계곡은 웅장하면서도 유현(幽玄)함을 잃지 않는다. 천왕봉에서 노고단에 이르는 주 능선의 거리가 25.5km로 60여리가 되고, 둘레는 320여 km로 800리쯤 된다.

 

지리산의 너른 품안에는 1,500m가 넘는 20여개의 봉우리가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 노고단(1,507m)의 3대 주봉을 중심으로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20여개의 긴 능선이 있고 그 품속에는 칠선계곡, 한신계곡, 대원사계곡, 피아골, 뱀사골 등 큰 계곡이 있으며, 아직도 이름을 얻지 못한 봉우리나 계곡이 많다.

 

이렇게 넉넉한 지리산의 웅장하고 아늑한 산세는 영·호남의 지붕으로서 이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며, 생명의 산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지리산의 북쪽으로는 만수천-임천-엄천강-경호강-남강-낙동강이 이어지며, 남쪽으로는 섬진강이 흘러 생명수를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천왕봉 바로 아래 위치하고 있는 천왕샘을 비롯하여 주능선 곳곳에서 끊임없이 샘물이 솟아나고 있다.  "산은 사람을 가르고, 강은 사람을 모은다." 고 했다.

 

경남의 하동, 함양, 산청, 전남의 구례, 전북의 남원, 이렇게 3도 1시 4군에 걸쳐 있는 지리산은 풍부한 동·식물만큼 그 문화는 동서간을 이질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권으로 만들기도 했다. 그래서 지리산은 단지 크고, 깊고, 넓은 것만으로 설명이 안되는 다른 매력이 있는 산이다.

 

따라서 오늘은 단풍으로 유명한 성삼재~피아골 코스를 택하면서 설악산 단풍만큼은 아니더라도 멋진 단풍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산행을 시작하였다. 

▣ 산행일시 : 2012. 10. 13(토)

▣ 날      씨 : 오전에는 흐렸으나 오후에는 맑음

▣ 산행장소 : 지리산 성삼재~피아골

▣ 산행인원 : 목포시청산악회 따라서

▣ 산행코스 : 성삼재 ~ 노고단대피소 ~ 노고단고개 ~ 노고단 정상 ~ 노고단고개 ~ 돼지령 ~ 피아골삼거리 ~ 임걸령 ~ 피아골삼거리 ~ 피아골대피소 ~ 구계폭포 ~ 삼홍교 ~ 표고막터 ~ 피아골 ~ 직전마을 ~ 연곡사 ~ 대형버스주차장

▣ 산행거리 : 약 18.5km

▣ 소요시간 : 6시간(휴식 및 중식시간 포함)

▣ 산행사진

 

 

성삼재 지명유래는 삼한시대에 진한군에 밀리던 마한왕이 피난할 때, 이능선은 가장 중요한 곳이므로 성이 다른 3명의 장군을 배치 방어케 하였으므로 성삼재라 부르게 되었다.

 

아름다운 단풍을 보면서...

 

노고단대피소 도착

 

◎ 지리산 노고단 老姑壇 1507m

 

 

지리산 3대 봉우리의 하나 노고단은 해발 1507m로서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 다음이다. 노고단은 문수보살을 상징하는 길상봉이다. 심원계곡과 화엄사계곡이 발원한 봉이다

 

노고단에서 바라보는 구름 바다는 지리산의 가장 아름다운 경관으로 노고운해 지리산의 10경중 제1경이다. 

 

◇ 천상화원****노고단 정상은 한여름철에는 원추리 물매화 흰여로 모싯대 가는참나물 송이풀 기린초 물레나물 싸리꽃 산씀바귀 함박꽃나무등 야생화들이 환상적인 화원을 연다. 

 

샛노란 원추리는 무리로 앞다퉈 꽃을 피운다. 원추리는 노고단의 대표 야생화로 ‘득남초(得男草)’로도 통한다. 또 아들을 낳을 수 있다는 전설이 있어 ‘어머니꽃’으로도 불린다.

        

 

◇ 노고단****노고라는 이름은 할미당에서 유래한 것으로 ‘할미’는 도교(道敎)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述聖母) 또는 선도성모(仙桃聖母)를 일컫는다.

 

◇ 남악사 *** 노고단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어머니 선도성모를 지리산 산신으로 받들고 나라의 수호신으로 모셔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올리던 곳으로 전한다

 

제사는 선도성모의 사당인 남악사를 세워 올렸는데 지금은 화엄사 앞으로 옮겨져와 구례군민들이 해마다 곡우절을 기해 약수제와 함께 산신제를 올리고 있다.

 

◇ 바위할매. 바위할베 전설 **** 옛날 노인 부부가 자식이 없어 애를 태웠는데, 영산에서 기도를 하면 자식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찾아 든 곳이 노고단이었다.

 

두 부부는 천일기도를 했는데, 그 기도가 끝난 날 안타깝게도 천왕봉을 향해 두 손을 곱게 모은 채 함께 바위가 되었다.

 

노부부는 바위할매와 바위할베로 변했는데, 지냈다. 그 주변에는 할미꽃이 만발한 꽃밭을 이루었고 철쭉꽃, 백합꽃, 나리꽃이 점차 늘어나 화원이 되었다한다.

 

지리산 성삼재 ~ 노고단(전남 구례군)

 

‘지리산에게 미안하구나.’

하동군 섬진강변 악양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평사리 지리산 자락. 그 산중턱에 소설 ‘토지’의 ‘최 참판 댁’을 재현한 대가(大家)를 보고 작가 박경리 씨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 소설의 일관된 주제가 ‘생명’임을 감지한다면 산자락을 파헤쳐 지은 이 집을 보며 작가가 되뇌었을 이 말의 뜻을 충분히 헤아리고도 남으리라.

○ 1370m 고갯마루 서면 지리 주맥이 도열한 듯

해발고도 1070m의 지리산 성삼재. 구례와 남원(산내면)을 잇는 험준한 산길(지방도 861번)이 지나는 백두대간의 마루금 고개다.

대간의 마루를 지나는 길이니 고갯마루에서 바라다 보이는 주변 풍치는 입소문을 탈 만도 할 터. 위로 노고단(老姑壇·1507m), 옆으로 고리봉 만복대를 잇는 지리산의 주맥이 또렷하고 먼발치로 보이는 산동(구례군)의 너른 땅 풍수도 기막히다.

그러나 산을 아끼는 이라면 이 ‘지리산 관광도로’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던지게 된다. 게다가 최근 서울대 박종화 교수팀의 조사에 따르면 관광도로 때문에 야생동물의 이동 경로가 단절돼 먹이사슬이 파괴되고 결국은 생태계가 교란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도로가 지나는 성삼재를 출발해 백두대간의 마루금 밟으며 노고단에 올라 자연과 한데 어울리는 상생의 길을 찾는 것도 의미가 있어 ‘백두대간 즈려밟기’에 굳이 성삼재∼노고단 코스를 포함시켰다.

하동에서 섬진강변 19번 국도를 따라 북상하면 악양 너른 들과 화개장터, 쌍계사 입구를 지나 구례 땅에 이른다. 여기서 지리산 관광도로 861번으로 갈아타면 천은사를 지나며 구절양장의 고갯길로 들어선다. 가파르고 험한 고갯길은 곡예에 가까운 정교한 운전을 요구한다. 겨울에는 결빙으로 통행중단도 잦아 사전정보 없이 찾았다가는 낭패를 보기 일쑤다.

그런데도 사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이유? 간단하다. 하이킹 수준의 가벼운 등산으로 대산 지리의 백두대간 마루금도 밟아 보고 더불어 멋진 운해와 설경, 반야봉 천왕봉이 두루 등장하는 멋진 지리산경까지 두루 감상할 수 있는 노고단의 길목이기 때문이다.

노고단을 오르는 길은 두 갈래다. 노고단 대피소까지 이어진 도로 아니면 대간의 마루금 산길로 종석대(1356m)를 들러 오르는 코스다. 눈 덮인 시멘트포장도로는 경사도 완만해 이야기를 나누며 걷기에 좋다. 한 시간쯤 오르면 화엄사 등반로와 합쳐지는데 세 시간 이상의 고된 산행도 마다않고 오른 산꾼을 만날 수 있다. 대피소에 이르면 노고단 고개(1370m)는 지척(20분)이다.

○ 나라 안녕 빌던 제사터엔 돌탑만 외로이…

고개에 오르면 환호와 감탄의 말을 아낄 수가 없다. 정면의 반야봉이 지친 산객을 안아주고 주봉 천왕봉과 세석평전이 멀리서 눈인사를 건네는 풍경 덕분이다. 천왕봉까지 이어진 장장 32.3km의 지리주맥 백두대간을 한눈에 확인함은 물론이다. 노고단 정상은 고개에서 빤히 올려다 보인다. 그러나 생태계 훼손으로 통행을 막은 상태다.

고개에는 정상 것과 똑같은 돌탑(제단)이 있다. 그래서 어떤 이는 여기가 정상인 줄 착각하기도 한다.

노고단은 고려 조선시대에 나라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제사 터이자 국내에 흔치 않은 아고산(亞高山)지대 초원. 7월 말∼8월 초 원추리와 동자꽃, 이질풀이 만개하는 고산화원. 지리 10경 중 ‘노고운해’는 한여름과 가을에 볼 수 있다.

 

반야봉 [般若峰]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732m. 소백산맥에서 갈라진 지리산 줄기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 날라리봉·토끼봉 등이 있다.

 

기반암은 화강편마암으로 급경사의 바위산을 이루어 산세가 비교적 험하다.

 

남사면에서는 섬진강의 지류가 발원하며, 북사면에서는 산내천이 발원해 남강으로 흘러든다.

 

월귤·만병초 등의 고산식물이 자라며, 식물의 수직적 분포가 나타난다. 지리산국립공원에 속한다.

 

노고단은 전라남도·전라북도·경상남도 경계에 있는 지리산 연봉의 하나로 해발 1507미터의 노고단은 남쪽 멀리 섬진강을 품고 있는데, 골짜기마다 안개와 구름이 밀려와 환상적인 풍광을 연출할 때가 종종 있다. 이를 지리산 10경중 하나인 노고단운해라 한다.

 

10경 섬진청류(蟾津淸流)

 

섬진강은 전라북도 진안, 장수 지방에서 발원하여 기름진 평야 지대와 산굽이를 감돌아 하동 포구를 통해 멀리 남해 바다로 흘러드는 300리의 유장한 물줄기이다. 지리산 서남쪽을 거쳐 지날 때는 그 푸른 강물 위에 지리산 산자락을 실어 남국의 낭만과 흥취를 한층 돋운다. 은빛 백사장도 곱거니와 청류 위에 뜬 거룻배가 이채롭다.

 

반야봉과 중봉, 천황봉이 보인다.

지리산 제2봉인 반야봉에서 감상하는 황금빛 낙조를 두고

어느 시인은 ‘자연이 만든 가장 장엄한 잔치’라고 극찬했다.

지리산 서쪽 하늘 전체가 거대한 붉은 황금빛으로 물든 풍광은 평생 잊지 못할 감동이다.

이를 지리산 10경중 반야낙조라고 한다.

 

반야봉(1,732m)

 

지리산 3대 주봉중 하나인 반야봉(1,732m)은 지리산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봉우리이며, 지리10경중 제3경 반야낙조의 장관을 볼수 있는 곳이다.

 

반야봉은 우리니라 제일의 반야도량으로, 반야봉을 백번 오르면 스스로 도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며, 먼동이 떠오르는 반야봉의 아침, 저녁노을이 짙어오는 반야봉에서는 천리를 깨달을 수 있는 금강굴이 보인다고 한다.

 

반야봉에는 지리산 산신중 여신인 천왕봉의 마고할미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그 여신은 선도성모 또는 마고할미, 노고라 불리는데 바로 천신의 딸이다.

 

그 천신의 딸인 마고할미는 지리산에서 불도를 닦고 있던 도사 반야를 만나 결혼해 천왕봉에서 살았다.

 

그들은 딸만 8명을 낳았다.

 

그러던 중 반야는 더 많은 깨우침을 얻기 위해 가족들과 떨어져 반야봉으로 떠났다.

 

그리고 마고할미가 백발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마고할미는 반야봉에서 깨우침을 얻기 위해 외로이 수도하는 남편 반야를 그리며 나무껍질을 벗겨 남편이 입을 옷을 만든다.

 

그리고 마고할미는 딸을 한명씩 전국 팔도에 내려 보내고 홀로 남편을 기다린다.

 

기다림에 지친 마고할미는 끝내 남편 반야를 위해 만들었던 옷을 갈기갈기 찢어버린 뒤 숨지고 만다.

 

갈기갈기 찢겨진 옷이 바람에 날리어 반야봉으로 날아가니 바로 반야봉의 풍란이 되었다고 전한다.

 

노고단 정상에서 사진도 찍고

휴식을 취하며 막걸리도 한잔하고...

 

노고단 고개로 하산

 

지리산 천황봉과 중봉이 눈에 들어 온다.

 

노고단 능산 안부에 진달래와 철쭉산행지로 유명한 돼지령은

멧돼지가 원추리 뿌리를 종종 파 먹던 곳에서 유래되었다.

 

돼지령에서 본 풍경

 

피아골삼거리 도착

 

아름답게 물든 피아골 단풍들의 모습

핏빛 단풍으로 유명한 피아골은 10월이면 하늘이 붉고 계곡 물이 붉으며,

 바라보는 이의 마음까지 붉어지는 단풍천국으로 바뀐다.

이를 지리산 10경중 피아골단풍이라 한다.

 

임걸령

 

임걸령은 노고단에서 반야봉으로 이어지는 8㎞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1,320m의 높은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우뚝 솟은 반야봉이 북풍을 막아주고 노고단의 능선이 동남풍을 가려주어 산속깊이 자리한 아늑하고 조용한 천혜의 요지이며 샘에서는 언제나 차가운 물이 솟고 물맛 또한 좋기로 유명하다.  


이곳은 옛날에 의적이나 도적들의 은거지였던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의적 임걸(林傑)의 본거지였다 하여 임걸령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샘터에서 피아골쪽 암벽 밑에 막(幕)터가 있는데 이곳을 '황(黃)호랑이 막터'라고 부른다.


옛날에 약초를 캐는 황장사가 눈 내리는 겨울밤 이곳에 천막을 치고 자다가 호랑이를 잡았다는 전설이 있다.

 

 

◇임걸령 : 노고단에서 1시간 남짓 거리 임걸령이다. 맛좋은 물이 끊이지 않는 옹달샘이 있어 지리산을 종주하는 사람들이 휴게소처럼  머무는 이곳은  인걸 사냥군과 선녀의 전설로 임걸령이다.

 

<인걸 전설>옛날 지리산 기슭 마천면 삼정리 하정부락에는 인걸이라는 사내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냥을 하며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그의 사냥 길목에서는 하루에 꼭 3차례씩 무지개가 섰다가 꺼지곤 하였는데 자세히 보니 무지개 아래 소(沼)에서 어여쁜 3선녀가 정성껏 밥을 짓고 있는게 보였다.

 

옥황상제의 시녀들이 날마다 내려와 밥을 짓는데 그러던 어느날 더위를 못참았는지 선녀들이 소에서 멱을 감게 되었다.

 

이때 인걸은 선녀들의 날개 옷만 입으면 자기도 옥황상제를 만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날개 옷을 훔쳐 오다가 그만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면서 날개 옷이 돌부리에 걸려 찢어져 버렸다.

 

옷 찢기는 소리에 깜짝 놀란 선녀들은 놀란 나머지 각자 자기의 옷을 찾아 입었는데 아미(阿美)라는 선녀만은 옷이 없어 인걸이 갖다 준 어머니의 옷을 입고 결국 하늘나라에 오르지 못하고 인걸의 집으로 와서 몇 날을 지냈다.

 

하늘나라에서는 아미 선녀를 인걸과 같이 살도록 허락하고 비단옷과 쌀이 나오는 바위를 하사해 주었다. (이 쌀 바위는 작전도로 공사 때 묻혀 버렸다고 한다)

 

인걸과 아미는 그로부터 1남 2녀를 낳아 하늘아래 첫 동네에서 정자(지금 하정부락 앞 솔밭 근처에 있는 선유정이 그것이라고 한다)를 짓고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던 어느날 인걸이 장난삼아 옛날 찢어진 아미의 날개 옷을 기워서 입혔는데 그만 아미가 하늘나라로 날아가 버렸다.

 

임걸령에 도착하여 점심식사

 

임걸령을 떠나면서 본 풍경

 

고사목과 단풍들의 향연

 

또다시 먼길을 떠나고...

 

중간중간에 물들어 가는 단풍을 구경하며...

 

다리도 건너고 단풍도 구경하며 피아골대피소 도착

 

화장실도 가고 야생도도 구경하며 잠시 휴식

 

피아골계곡

 

구계포계곡

 

구계포교를 건너서...

 

삼홍소

 

구례를 거쳐~~토지면 외곡검문소를 지나치고~~유명한 사찰 연곡사를 들러서....피아골 단풍제의 시작점...

 피아골을 삼홍소라 한답니다...

 

왜 삼홍소 인 줄 아시나요? 

첫째...피아골 단풍의 빨간색이 짙다해서 일홍 이고요..

둘째...그짙은 단풍이 피아골 계꼭물을 빨갛게 물들이듯이 계곡물 자체가 빨갛게 보여서 이홍 이고요

셋째...그단풍을 구경하고 아름다움에 빠져서 이를 보는 관광객들의 얼굴이 빨갛게 물들인것처럼 보여서 삼홍이라한답니다.

 

그만큼 지리산 피아골 단풍은 유명하다는 것 이죠...

 

또한 다른 표현으로

삼홍소(三紅沼).

단풍에 붉게 물든 산홍(山紅),

붉게 물든 산이 물에 비춰 수홍(水紅),

찾아오는 사람 얼굴이 붉게 물들어서 인홍(人紅)이라는 곳입니다.

가을에 가야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계포폭포

 

남부학술림에 도착

 

피아골 자연관찰로

 

하산하여 마을길을 걸으며...

 

도로를 다라 연곡사로...

 

길가의 다풍도 보고...

 

화장실도 들리고...

 

서굴암 안내석 뒷편에는 누가 사는지 집이 있었다.

 

연곡사 [鷰谷寺]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지리산 피아골 입구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545년(신라 진평왕 6) 연기조사가 창건했으며, 신라말부터 고려초에 이르기까지 선도량(禪道場)으로 유명했던 곳이다.

 

절의 이름은 연기조사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 큰 연못에서 제비 한 마리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 법당을 세운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복원되었으나, 1910년 고광순이 의병을 거느리고 이곳에서 왜군과 싸우는 과정에서 다시 불타버렸다.

 

그뒤 곧 중건했으나 6·25전쟁 때 다시 폐사되었으며, 오랫동안 사찰 내의 분규와 불편한 교통사정으로 인해 재건되지 못하다가 1965년 대웅전만 건립했다.

 

1981년 정부와 신도들의 지원을 받아서 구법당을 없애고 대신 그 자리에 앞면 5칸, 옆면 3칸의 대규모 대웅전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 뒤편에 있는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를 비롯하여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보물 제153호)가 남아 있고, 이 절과 좀 떨어진 곳에 구례 연곡사 3층석탑(보물 제151호)과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보물 제152호) 등이 있다.

 

1967년 3층석탑을 해체·수리할 때 하층기단에서 동(銅)으로 만든 불입상 1구(동국대학교 박물관)가 발견되었다.

 

연곡사에 도착하여 대충 구경을 하고...

 

대형버스주차장에 도착하여 산행을 완료하고 켄맥주로 간단하게 뒷풀이

 

집으로 떠나기전 단체사진을 찍고 오늘의 일정 마무리